[OPENGL] 벡터 그래픽 장치

벡터 그래픽 장치(Vector Display)에는 화소의 개념이 없다. 이들 장치에는 화면 전체에 인(Phospor)이 칠해져 있어 래스터 장치처럼 화소 면적 단위로 밝혀지는 것이 아니라 전자총이 닫는 부분마다 밝혀지게 된다.

선분을 그리기 위해서는 전자총이 A점부터 B점 사이를 왕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에일리어싱이 일어나지 않는다. 래스터 장치처럼 근사화를 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화소 개념이 없어서 이론상 해상도는 무한대이다.

벡터 그래픽 장치는 따라서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어떻게 그릴것인지를 저장한다.

만일 한번 그려진 삼각형을 계속 재생하기 위해서는 goto 명령어에 의한 루프 구조를 사용한다.

따라서 정리하면 프레임 버퍼에서 화소의 색상이 저장되는 래스터 장치와는 달리. 디스플레이 리스트라는 메모리에 해당 물체를 그리기 위한 명령어를 저장한다. 메모리 면에서 볼 때 디스플레이 리스트는 프레임버퍼에 의해 분량이 매우 적다.

벡터 그래픽 장치는 오실로스코프(Ocilloscope)에서 유래한다. 이는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는 계측 장치로, 어떤 전기적 신호의 파형(Waveform)을 선으로 그려낸다.

펜 플로터도 일종의 벡터 그래픽 장치라고 할 수 있다.

벡터 그래픽 모니터에는 빔 투과(Beam Penetration) 방식이 사용된다. 이 방식에서는 화면에 적색과 녹색의 인층(Phospor Layer)을 겹쳐서 칠하고 전자빔을 가속시키는 전압의 세기에 따라 어느 층을 자극할 것인지가 결정된다.

가속 전압이 약하다면 화면 뒤쪽의 적색 코팅을 강하다면 적색 층을 통과하여 녹색 코팅을 자극하게 된다.

만약 중간쯤 되는 세기라면 두 층의 합성색인 황색이 나오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