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력 파서에 대한 공부

파서(Parser)라고 하는 것은 뭔가를 해석하다~ 라는 의미가 됩니다.

LLM이 어떠한 답변을 주고 이 답변(출력)을 더 유용하고 구조화된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는 의미입니다.

LLM에 invoke했을 경우 답변에 대해 어떤 특정한 형태로 변환해야 할 일이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즉 어떤 프롬프트에 대한 응답을 정형화되고 구조화된 어떤 특정하고 지정한 형식으로 출력하는 것이 출력 파서를 사용하면 가능하다는 의미가 되겠습니다.

어떤 JSON 형식으로 출력하거나 할 수 있는 것입니다.

{

  "기업명": "**헬스케어",

  "설립_년도": "2012",

  "본사_위치": "대한민국",

  "대표자": "유*환",

  "업종": "바이오 헬스케어 (AI, 3D 바이오프린팅)",

  "상위_항목": "질환",

  "하위_항목": "피부질환",

  "핵심_기술_제품_요약": "AI와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융합한 피부 및 조직 재생 치료 플랫폼. 대표 제품 '닥터인비보'는 환자/동물의 세포로 맞춤형 재생 패치/장기 출력.",

  "반려동물_적용_제품_서비스": {

    "제품명": ["닥터인**"],

    "기술_설명": "AI로 상처 부위 정밀 측정 후, 환자(동물) 지방 조직 추출 -> 3D 프린터 투입 -> 환부에 맞는 패치 제작. (7세 강아지 피부재생 45일 완치 사례)",

    "기타_특징": "일본 동물 의료기기 등록 추진, 동물용 피부재생 시장 진출 본격화. 인체 대체피부 모델 '에**-2' 개발 (동물실험 대체 목적)."

  },

  "차별점_강점": [

    "기존 치료법 대비 높은 치료 효율, 짧은 회복 기간, 면역 거부 반응 거의 없음",

    "AI 초개인화 맞춤형 패치 제작",

    "자가지방 조직 이용으로 회복기간 단축, 스트레스 최소화",

    "동물실험 대체 가능한 인체 대체피부 모델 개발 (***-2)"

  ],

  "시장_현황_성장_전략": [

    "당뇨발 등 만성 피부질환, 화상, 피부암 치료에 적용",

    "글로벌 진출 (미국, 중동, 남미, 인도, 터키 등 29개국 독점 판매 계약, 7개국 론칭)",

    "2025년 코스닥 상장 목표"

  ],

  "투자_성과_인증": [

    "미국 최대 창상학회(SAWC)에서 미래 의료기술로 주목",

    "ISO 국제표준 등재된 동물대체시험법 '인체피부모델(Ker*****TM)을 이용한 의료기기 피부자극시험법' 개발"

  ],

  "협력_파트너": [

    "서울대 의대, 서울아산병원 등 협력 연구",

    "프랑스 동물병원 및 국내 국립대학 동물병원과 반려동물 임상 진행",

    "롯데손해보험 (수의사 배상책임보험 제휴), 수의사 장터 입점 추진"

  ],

  "주요_키워드": ["AI", "3D 바이오프린팅", "재생의학", "피부재생", "닥터**보", "당뇨발", "동물대체시험법", "E**Tem"],

  "원문_요약_GPT_생성": "이 필드는 GPT가 원문 전체를 기반으로 생성한 핵심 요약이 들어갈 예정입니다."

}

이런식으로 어떤 데이터를 우리가 사전에 정의한 프레임에 맞게 정형화하고 구조화 할 수 있다는 것이 됩니다.

LangChain의 출력파서는 LLM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있어 중요한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LLM의 출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구조화된 데이터로 쉽게 변환할 수 있습니다.